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1. IP카메라 활용 - 구버전

인공지능 체험 및 학습을 위해 웹캠을 많이 사용합니다.

웹캠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하는데, 대부분의 웹캠은 USB 케이블로 PC와 연결되거나 노트북 처럼 빌트인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노트북은 사물의 사진을 자유롭게 촬영하기가 어렵고, USB케이블 연결을 할 경우 로봇에 카메라 장착이 어려우니 무선 웹캠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웹캠을 무선으로 만든 것은 없습니다. 사실 만들 이유가 없기 때문이지요^^;; 

새로 만들자니 제작비용도 들어가고 하니, 시중에 많이 나와있는 소형 IP카메라를 이용하여 무선 웹캠처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내게 됩니다.^^


IP 카메라는 말 그대로 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로 네트워크 카메라라고 불리는데, 인터넷으로 영상과 소리를 보내고, 다른 기기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어디서든 영상과 소리를 들을 수 있고, IP 카메라에 스피커를 달면,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기기로 카메라에 음성을 전달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집 안에 아이나 애완동물을 두고 외출하는 부모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우리는 인공지능 코딩을 하는데 인터넷이 필요하니, 이 인터넷과는 별개로 PC에 무선 Wi-Fi동글을 추가하여 IP 카메라를 연결하고, IP 카메라에서 보낸 영상과 소리를 다시 PC에서 웹캠처럼 가상 카메라로 인식한 후,코딩 소프트웨어로 보내는 절차를 가지게 됩니다.
물론 이 방식에서는 실제로 웹으로 이미지와 소리가 전송되지는 않고, IP카메라 자체를 서버로 사용하게 됩니다.


IP Camera Adapter , OBS 스튜디오의 경우 한 번 진행하면, 그 다음부터는 IP카메라를 와이파이로 연결하기면 하면 자동으로 가상카메라가 잡히게 됩니다.



 

현재 로보메이션과 삼쩜일사 2군데의 회사에서 각각 '햄스터 AI 카메라', '무선 AI 카메라' 로 이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방법은 조금 다르나 순서는 동일하고, 어느 회사의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즉, 각 회사에서 제공하는 IP카메라는 특정 로봇에 맞는 무선 카메라가 아니라, 그냥 IP 카메라를 무선 웹캠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어떤 로봇이든지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IP카메라 무선웹캠 설정하기


2.1 IP Camera Adapter 이용

로보메이션에서 제공하는 연결 방법입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이미지 주소 가지고 오기
  1) 와이파이 동글 컴퓨터에 장착 후 IP카메라와 연결 (비번 168168168)
  -> 카메라 뒤에 카메라 ID가 있음 ( HOW-XXXXX-XXXXXX )
  2)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 ( 192.168.66.1:9527 ) 
  -> 연결이 안되면, 속성에서 IPv4 DNS 서버 주소 확인
  3) 접속이 되면 아이디 및 비번  admin/ admin 으로 로그인
   -> IP 카메라 뒷면에 아이디/ 비번이 적혀있음
  4) IP CAM 사이트 접속이 되면 Video Stream  선택하여 카메라 영상이 나오도록 함
  5) 영상 크기 (640*360), 프레임(5)을 설정하고 영상 마우스 우클릭하여 '이미지 주소 복사'
   -> 프레임이 5이여도 도로 자율 주행이 충분히 가능

2. IP Camera Adapter 로 웹캠으로 인식 시키기 (가상 카메라)
  1) IP Camera Adapter 다운로드 및 설치
  2) Camera feed URL 에 복사한 이미지 주소 붙여넣고, 아이디 비번 (admin/ admin) 넣기
  3) 카메라 이름은 'MJPEG Camera'
  
3. 영상이 안나오면 장치관리자에서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노트북의 경우 기본 카메라) 사용 안함으로 설정
 


2.2 OBS Studio 이용

삼쩜일사(카미봇 파이)에서 제공하는 방법입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이미지 주소 가지고 오기
  1) 와이파이 동글 컴퓨터에 장착 후 IP카메라와 연결 (비번 168168168)
  -> 카메라 뒤에 카메라 ID가 있음 ( HOW-XXXXX-XXXXXX )
  2)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 ( 192.168.66.1:9527 ) 
  -> 연결이 안되면, 속성에서 IPv4 DNS 서버 주소 확인
  3) 접속이 되면 아이디 및 비번  admin/ admin 으로 로그인
   -> IP 카메라 뒷면에 아이디/ 비번이 적혀있음
  4) IP CAM 사이트 접속이 되면 Video Stream  선택하여 카메라 영상이 나오도록 함
  5) 영상 크기 (640*360), 프레임(5)을 설정하고 영상 마우스 우클릭하여 '이미지 주소 복사'
   -> 프레임이 5이여도 도로 자율 주행이 충분히 가능

2. OBS Studio 로 IP 카메라 영상을 웹캠으로 인식 시키기 (가상 카메라)
  1) 설정 -> 비디오 -> 영상 크기 설정 (640*360)
  2) 소스목록 -> '+' 클릭 -> 브라우저 선택 -> 이름 짓고 확인 -> 복사된 이미지 주소 넣기/ 너비 높이 640*340 설정/ 장면이 활성화되면 브라우저 새로고침 체크 -> 확인 
  3) 우측에 '가상카메라 시작' 클릭  
     -> 화면에 '가상카메라 중지'라고 표시되어 있어야 가상카메라가 시작된 것입니다^^

3. 영상이 안나오면 장치관리자에서 기존에 설치된 카메라 (노트북의 경우 기본 카메라) 사용 안함으로 설정



2.3. Happycreative AI Camera 이용

위 두 방법으로 IP카메라를 연결하는 것을 어려워 하시는 것 같아서 만들어 보았습니다.

로보메이션 및 삼쩜일사, 로보라이즌에서 판매하는 카메라는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WiFi 동글이는 꼭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사용하세요~^^


첫 버전으로 일부 PC는 동작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은 자료실에서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자료실 다운로드 링크

   

1. 설치
​  -. 위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하여 설치합니다.

  -. 설치되면 바탕화면에 프로그램 실행 아이콘이 생성됩니다. 


2. 사용법

  1) IP카메라 전원 켜기 

    -. 카메라 전원을 켜면 파란색 LED가 켜지는데, 이 LED가 점멸해야 합니다.

    -. 미리 켜 놓아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야 잘 연결이 됩니다.^^

  1) 프로그램 실행 -> '예' 클릭



  2) 메인 페이지 -> '시작하기' 클릭



  3) WiFi USB 동글 선택

    -. 인터넷에 연결된 WiFi가 아닌 새로 연결한 USB WiFi 동글 필히 확인!! 



  4) IP카메라 ID 입력 -> 연결하기 클릭 

    -. 카메라 뒤에 있습니다.' HOW-xxxxxx-xxxxx '



 

  5) 영상이 나오며 연결되면 마치기 클릭

    -. 티처블 머신 등 사용시에는 웹브라우저(크롬 등)을 필히 모두 닫았다가 다시 열어야 합니다.

    -. 카메라 선택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니 컴퓨터가 인식하는 카메라 이름도 확인 합니다. (IP Camera bridge)



  6) 연결이 안되면 될 때까지 반복^^::

    -. 한 번에 안 될때가 있습니다~^^

    -. 한 번 클릭에 많은 작업이 이루어지니 와이파이 동글 연결 및 카메라 전원켜기를 한 후 30초 정도 조금 기다린 후 연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무선웹캠 - 신규



최신 무선 웹캠이 출시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동글과 카메라로 구성된 무선 웹캠입니다.


1. 연결의 간편함
 

새로운 무선 웹캠은 어려운 설정없이 동글을 연결하고, 동글 가까이에서 카메라 전원만 켜면 바로 무선 웹캠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넉넉한 동시 사용 대수


기존 IP 카메라 활용은 일반적으로 7~8대, 초당 전송 프레임수를 5프레임으로 줄이면 최대로 15대 정도가 연결이 되었습니다.
새로 출시된 무선 웹캠은 30대 내외가 연결되어 한 반 수업하는데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3. 무선 웹캠 종류


현재 (주)에이럭스의 뉴로캠2와 (주)스마트큐브랩스의 NCAM이 있습니다.
NCAM은 25년 3월 초 '카미봇 AI카메라 세트' 라는 이름으로 121,000원 판매를 시작했으며, 기존 IP카메라와 모양과 크기가 같습니다.

뉴로캠2는 25년 3월 하반기 출시 예정으로 7만원대로 판매가 될 예정입니다. 
왼쪽이 NCAM, 오른쪽이 뉴로캠2입니다.


3.1. 뉴로캠2


1. 형태


3cm의 정육면체이며, 마운트는 프로보 커넥트 시리즈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바닥에 자석 테이프등을 이용하여 다른 로봇에 부착할 수도 있습니다.



 

2. 연결

 1) USB 동글을 PC에 연결
   → 파란 LED가 깜빡임.
 2) 카메라를 동글 가까이에 위치한 뒤 스위치를 약 1초 정도 누르기
   → 빨간 전원 표시등이 켜지면 스위치 떼기
   → 파란 LED가 깜빡임.
 3) 동글과 카메라의 파란 LED가 계속 켜져있으면 연결 완료

  


아래는 윈도우 기본 카메라로 본 것입니다.



3. 설정


 -. 설정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카메라의 화질, 밝기 등을 수정하면, 수정한 데이터가 카메라에 자동 저장됩니다.
 -. 설정 프로그램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하며, 설정이 완료된 후 꼭 연결 끊기를 해 줍니다.

  → 영상을 전송하는 것 이외에 설정을 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하나 더 사용하는 것입니다.

  → 많은 사람이 뉴로캠2를 사용할 때는 이런 무선 네트워크를 하나라도 줄이는 게 좋습니다.^^ 

 1) 설정 프로그램 설치

링크 


 2) 기본 구성

 3) 업데이트

3.2. NCAM (카미봇파이 AI 카메라)


상품소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