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캠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이용하는데, 대부분의 웹캠은 USB 케이블로 PC와 연결되거나 노트북 처럼 빌트인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노트북은 사물의 사진을 자유롭게 촬영하기가 어렵고, USB케이블 연결을 할 경우 로봇에 카메라 장착이 어려우니 무선 웹캠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웹캠을 무선으로 만든 것은 없습니다. 사실 만들 이유가 없기 때문이지요^^;;
새로 만들자니 제작비용도 들어가고 하니, 시중에 많이 나와있는 소형 IP카메라를 이용하여 무선 웹캠처럼 사용하는 아이디어를 내게 됩니다.^^
IP 카메라는 말 그대로 언터넷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카메라로 네트워크 카메라라고 불리는데, 인터넷으로 영상과 소리를 보내고, 다른 기기로 인터넷에 연결하면 어디서든 영상과 소리를 들을 수 있고, IP 카메라에 스피커를 달면,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기기로 카메라에 음성을 전달할 수 도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집 안에 아이나 애완동물을 두고 외출하는 부모들이 많이 사용합니다.
우리는 인공지능 코딩을 하는데 인터넷이 필요하니, 이 인터넷과는 별개로 PC에 무선 Wi-Fi동글을 추가하여 IP 카메라를 연결하고, IP 카메라에서 인터넷으로 보낸 영상과 소리를 다시 PC에서 웹캠처럼 가상 카메라로 인식한 후,코딩 소프트웨어로 보내는 절차를 가지게 됩니다.
현재 로보메이션과 삼쩜일사 2군데의 회사에서 각각 '햄스터 AI 카메라', '무선 AI 카메라' 로 이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방법은 조금 다르나 순서는 동일하고, 어느 회사의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즉, 각 회사에서 제공하는 IP카메라는 특정 로봇에 맞는 무선 카메라가 아니라, 그냥 IP 카메라를 무선 웹캠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어떤 로봇이든지 사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카메라 설정하기
2.1 IP Camera Adapter 이용
로보메이션에서 제공하는 연결 방법입니다.
작업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이미지 주소 가지고 오기
1) 와이파이 동글 컴퓨터에 장착 후 IP카메라와 연결 (비번 168168168)
-> 카메라 뒤에 카메라 ID가 있음 ( HOW-XXXXX-XXXXXX )
2) IP카메라의 영상이 전송되는 서버에 연결 ( 192.168.66.1:9527 )
-> 연결이 안되면, 속성에서 IPv4 DNS 서버 주소 확인
3) 접속이 되면 아이디 및 비번 admin/ admin 으로 로그인
-> IP 카메라 뒷면에 아이디/ 비번이 적혀있음 4) IP CAM 사이트 접속이 되면 Video Stream 선택하여 카메라 영상이 나오도록 함
5) 영상 크기 (640*360), 프레임(5)을 설정하고 영상 마우스 우클릭하여 '이미지 주소 복사'